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바다를 지키는 든든한 파수꾼

평택해양경찰서

HOME

글자크기 확대 글자크기 원래대로 글자크기 축소 프린트

HOME


안산 쪽박섬 갯벌 고립자, 군,경, 민간구조대 공동 대응으로 무사히 구조(20250628) 상세보기 표 - 제목, 작성자, 등록일, 내용, 첨부파일로 구성
안산 쪽박섬 갯벌 고립자, 군,경, 민간구조대 공동 대응으로 무사히 구조(20250628)
작성자 문혜지 등록일 2025.07.02

경기 안산 대부도 인근 쪽박섬 갯벌에서 길을 잃고 고립된 60대 남성이 해양경찰과 육군, 경찰, 민간 해양재난 구조대 드론팀의 공조 속에 안전하게 구조됐다.

지난 6월 27일 밤 11시경, 안산시 단원구 대부도 ‘쪽박섬’ 인근 갯벌에서 60대 남성 A씨가 방향을 잃고 고립됐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A씨는 당일 오후 10시 30분경, 메추리선착장에서 혼자 갯벌 체험(해루질)을 위해 진입했으며, 시간이 지나자 방향 감각을 잃고 빠져나오지 못해 구조를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신고를 접수한 평택해양경찰서 안산파출소는 즉시 구조 대응에 나섰고, 인근 육군 남리 소초에 협조를 요청해 병력을 투입했다. 또한 경찰 순찰대와 민간 해양재난 구조대 드론팀도 수색에 동참하면서 구조 작업은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전개됐다.

특히, 민간 드론팀은 열화상 드론을 활용해 넓은 갯벌 지대를 효율적으로 수색했고, 지상 수색을 담당한 육군 병력이 갯벌 내 고립 중이던 A씨를 발견해 해경과 함께 안전하게 해안가로 인도했다. 이후 현장에서 간단한 건강 상태 확인을 거친 A씨는 다행히 외상이나 탈진 없이 무사히 귀가 조치됐다.

특히, 민간 드론팀은 열화상 드론을 활용해 넓은 갯벌 지대를 효율적으로 수색했고, 지상 수색을 담당한 육군 병력이 갯벌 내 고립 중이던 A씨를 발견해 해경과 함께 안전하게 해안가로 인도했다. 이후 현장에서 간단한 건강 상태 확인을 거친 A씨는 다행히 외상이나 탈진 없이 무사히 귀가 조치됐다.

이번 구조는 해경, 육군, 경찰, 민간 구조대가 각자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며 유기적으로 협력한 대표적인 민-관-군 공동 대응 사례로 평가된다. 야간이라는 악조건 속에서도 드론 수색과 지상 접근, 현장 판단 등이 유기적으로 이어지며 인명을 구조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한편, 평택해양경찰서 안산파출소는 대조기를 맞이하여 군, 해양재난 구조대와 함께 취약시간 합동 순찰중에 있다.

평택해양경찰서는 이번 사례를 계기로, 최근 늘어나는 해루질-갯벌 체험 활동에 대한 경각심을 다시 한 번 강조하며, 시민들에게 다음과 같은 안전수칙을 반드시 지켜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해루질 및 갯벌 체험 시 안전수칙

△일몰 전 체험 종료, 단독 활동 자제 △밀물 시간과 퇴로를 사전 확인 △손전등, 휴대전화, 위치 알림 장비 등 필수 휴대 △기상 예보와 해양상황 사전 파악 △해양안전 정보 앱인 ‘해로드(海Road)’ 설치(해로드 앱은 물때, 조류, 해양기상 등 실시간 정보 제공 긴급 위치 공유 기능이 있어 갯벌 고립 사고 예방에 매우 유용)

평택해양경찰서 관계자는 “야간 해루질이나 단독 갯벌 활동은 매우 위험하다”며, “이번 구조는 여러 기관이 제 역할을 다해 협력한 좋은 사례로, 앞으로도 국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한 민-관-군 협력 체계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첨부파일
"OPEN공공누리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마크(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해양경찰청이(가) 창작한 안산 쪽박섬 갯벌 고립자, 군,경, 민간구조대 공동 대응으로 무사히 구조(20250628) 저작물은 공공누리 "OPEN공공누리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마크(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OPEN공공누리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마크(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해양경찰청이(가) 창작한 안산 쪽박섬 갯벌 고립자, 군,경, 민간구조대 공동 대응으로 무사히 구조(20250628) 저작물은 공공누리 "OPEN공공누리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마크(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