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HOME

글자크기 확대 글자크기 원래대로 글자크기 축소 프린트

HOME


해양경찰, 항공 채증영상 인공지능(AI) 분석 기술 도입...불법 판별 활용 확대 상세보기 표 - 제목, 작성자, 등록일, 내용, 첨부파일로 구성
해양경찰, 항공 채증영상 인공지능(AI) 분석 기술 도입...불법 판별 활용 확대
작성자 박병주 등록일 2025.08.06

해양경찰, 항공 채증영상 인공지능(AI) 분석 기술 도입...불법 판별 활용 확대

- 개발 완료한 ‘어선 식별 인공지능’을 전국 항공대에 배포, 항공단속 등 활용 -


  해양경찰청(청장 김용진)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정보(DATA)·AI(인공지능) 분석 경진대회」와 협업하여 개발한 ‘어선 식별 인공지능(AI)’의 코드를 전국 항공대에 배포하여 항공 순찰 및 합동단속에 적용하는 등 최일선 현장의 인공지능(AI) 활용도를 높인다고 5일 밝혔다.

 해양경찰의 항공기는 전국 10개소 항공대에서 국토 4.5배의 광활한 바다를 순찰하며 첨단 열 영상카메라로 수천 척의 선박을 식별한다. 약 350km/h의 속도로 빠르게 이동하는 항공기의 전탐사는 수천 척의 영상을 분석하고 어선 선종에 따른 불법을 발견하기 위하여 막대한 집중력과 노동력이 필요하다. 또한 인간 인지능력의 한계상 일부 위법요소를 식별하지 못할 수 있는 한계도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해양경찰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개최하는「정보(DATA)·AI(인공지능) 분석 경진대회」에 항공 채증사진 기반 ‘어선 식별 인공지능(AI)’ 개발을 과제로 제출하여 대상을 수상하였다. 개발된 인공지능(AI) 모델은 해양경찰청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코드를 검증하고 사용 매뉴얼을 작성하여 전국 항공대에서 활용할 계획이다.

 여성수 경비국장은 “전국의 항공 직원이 어선 식별 AI를 활용하며 순찰과 단속을 실시하는 한편, 현장 활용 노하우를 바탕으로 해상 인명구조, 단속, 환경오염 물질 식별 등 종합적인 해양 물표 분석 인공지능(AI) 개발도 힘써 미래지향적인 광역 감시체계를 구축해나가겠다”고 밝혔다.

d

첨부파일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해양경찰청이(가) 창작한 해양경찰, 항공 채증영상 인공지능(AI) 분석 기술 도입...불법 판별 활용 확대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해양경찰청이(가) 창작한 해양경찰, 항공 채증영상 인공지능(AI) 분석 기술 도입...불법 판별 활용 확대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